울산이 주목받는 이유? SK, 아마존이 투자한 울산 데이터센터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
안녕하세요! 팁버튼입니다.
최근 울산이 ‘디지털 전환의 심장’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조선과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로 알려졌던 울산이 이제는 AI 전용 데이터센터와 수중 데이터센터라는 미래형 인프라를 앞세워 새로운 산업지형을 만들고 있습니다.
특히 “울산 수중 데이터센터 언제 생기나요?”라는 검색이 늘어날 정도로 관심이 뜨거운데요, 이는 단순한 기술적 실험이 아니라 울산의 산업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중요한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울산 해저 데이터센터의 장점, AI 데이터센터의 투자 규모, 2025년 울산 데이터센터 착공 일정 등 꼭 알아야 할 정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울산 데이터센터, 해저 + AI 투트랙 전략
국내 최초! 해저 수중 데이터센터
울산시 서생면 앞바다 수심 30m 지점에 국내 최초 수중 데이터센터가 들어섭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GS건설, 포스코 등이 함께하며, 약 22,500㎡(축구장 3배 규모)로 10만 대 이상의 서버 수용이 목표입니다.
가장 큰 장점은 냉각 비용의 절감입니다. 해수 온도를 활용한 수냉 시스템으로 기존 공랭식 대비 약 50%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울산 해저 데이터센터 장점”으로는 환경 친화성, 에너지 효율, 소음 감소 등이 꼽힙니다.
SK & AWS가 함께하는 AI 전용 데이터센터
또 하나의 프로젝트는 울산 황성동 미포 국가산단에 들어설 대규모 AI 전용 데이터센터입니다.
2025년 9월 착공, 2027년 1단계(40MW) 가동, 2029년까지 총 103MW 완공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총 투자 규모는 약 7조 원으로, AWS(아마존웹서비스)의 4조 원 투자가 포함된 초대형 프로젝트입니다.
GPU 6만 장 이상을 탑재할 예정이며, 이후 1GW급까지 확장도 계획 중입니다. LNG 냉열을 이용한 효율적 냉방 시스템, 발전소 인근 전력 인프라, 분산특구 지정 등이 성공 요소입니다.
경제적·환경적 파급 효과
- 고용 창출: 약 1,100명 이상
- 지방세 수익: 연 200억 원 이상 예상
- 산업 연계: 조선, 자동차, 배터리 산업과의 AI 융합 촉진
- 친환경 도시 전환: 탄소중립과 지속 가능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
울산 데이터센터의 향후 영향력 정리
1. 국내 디지털 산업 중심지로 도약
- 서울·경기권에 집중된 클라우드 및 데이터 인프라가 울산이라는 지방 도시로 분산됨으로써 디지털 산업의 지역 균형이 촉진됩니다.
- 이는 단순한 IT센터가 아닌, AI·빅데이터 생태계의 중심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됩니다.
-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AWS 등)**과 협업하면서 울산은 동북아시아 내 ‘데이터 중심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큽니다.
2. 에너지 효율과 친환경 전환의 상징
- 해저 데이터센터는 바닷물로 냉각, AI 센터는 LNG 냉열 활용 등 기존 공랭식보다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입니다.
- 이로 인해 전력 사용량 감소, 탄소 배출 저감이 가능하며, 탄소중립도시 울산이라는 이미지 브랜딩도 강화됩니다.
- 향후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 모델로써 국내 타 도시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수출 가능한 시스템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3. 기술산업 융합: 제조 + AI
- 울산은 전통적으로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산업 중심이었으나,
이제는 이 산업들에 AI·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공정이 더해져 제조 혁신이 촉진됩니다. - 예: 자동차 생산 데이터 → AI 분석 → 생산성 향상 / 조선 설계 AI 자동화 등
4. 고용창출 및 지역경제 파급
- 건설 및 운영 기간 동안 수천 명 규모의 고용 효과가 발생하며,
IT·전기·AI·건설·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 직간접적인 경제 효과가 확산됩니다. - 관련 스타트업, 협력 기업들이 울산에 집결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됩니다.
5. 데이터 주권 강화와 디지털 안보
- 한국 내 고성능 데이터센터가 늘어나면 해외 클라우드 의존도 감소
- 데이터 이탈 방지 및 국가 디지털 안보 차원에서도 긍정적입니다.
'아는 사람만 챙기는 정책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퇴직연금 의무화 시작! 내 퇴직금, 연금으로 받는 시대 준비되셨나요? (0) | 2025.06.29 |
---|---|
2025년 주택담보대출 6억 제한 규제 이후 서울·수도권 집값 안정될까? 전문가 분석 총정리 (1) | 2025.06.29 |
2025 이재명 정부 소상공인 빚탕감 정책과 정책자금 신청 조건·방법 총정리 (1) | 2025.06.24 |
민생회복지원금, 편의점·다이소에서도 쓸 수 있을까? (4) | 2025.06.19 |
2025년, 전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 A to Z ! 총정리 (3) | 2025.06.13 |